티스토리 뷰

 

 

 

강직성척추염이란?

 

척추에 염증이 생기고 움직임이 둔해지는 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류마티스 인자가 음성인 ‘혈청음성 척추관절병증’ 이라는 질환군에서

가장 흔한 질환으로, 엉덩이의 천장관절과 척추관절을 특징적으로 침범하는 만성염증성 질환입니다.

 

발뒤꿈치, 앞가슴뼈와 같이 인대나 힘줄이 뼈에 붙는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게 특징이며

관절 외에 눈, 위장관계, 폐, 심장, 신장, 전립선 등 다른 장기에도 침범할 수 있습니다.

 

 

 

 

강직성척추염 원인은?

 

아직까지 100%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HLA-B27이라는 유전자와 연관이 있습니다.

그 외에 세균, 감염, 외상, 과로 등의 환경적 요인이 영향을 준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허리, 엉덩이, 말초 관절, 발꿈치, 발바닥, 앞가슴뼈의 통증과 이밖에 관절 외 증상 등이 발생합니다.

허리는 염증성 허리통증의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주로 20~40대에 발생하여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고 아침에 심하고 뻣뻣한 강직 현상이 동반됩니다.

 

강직성 척추염의 주요 증상은 척추 증상이지만, 절반 이상의 환자에서 팔다리에도 관절염이 나타납니다.

주로 젊은 사람에게 팔다리 관절의 증상과 함께 질환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고

류마티스 관절염과 달리 말초관절 침범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나고,

무릎이나 발목관절을 잘 침범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관절 외에 포도막염, 만성 전립선염, 폐 섬유화, 심전도장애,염증성장질환 등

다양한 장기를 침범할 수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을 예방할 수 있는 뚜렷한 방법은 없습니다.

흡연이 관절염의 중요한 위험인자이기 때문에 금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이고,

또한 인스턴트 음식을 자제하면서 건강한 식품을 선택하고 평소에 적절한 운동을 하여

기초체력 향상 및 뼈와 근육이 약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조기 진단과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관절변형 및 손상을 예방하는 최우선의 방법입니다.

따라서 관절증세가 있을 시 상업적인 광고나 건강식품에 현혹되지 말고

류마티스내과 전문의의 조언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새움병원에는 류마티스내과 전문의가 있어서

체계적인 치료 및 관리가 가능합니다.

 

궁금하신 점 카톡 및 전화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설명해드릴게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