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골간신경증후군이란?

 

전골간신경은 팔 아래쪽에서 두 개의 가닥으로 나눠지는

정중신경의 가지 중 하나입니다.

 

감각신경을 포함하지 않는 순수한 운동신경이여서 통증을

느끼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전골간신경이 근육흠 사이를 주행하면서

근육이나 주변 구조물에 의해 압박되어

이상 증상을 일으키는 것을 전골간신경증후군 이라 합니다.

 

 

 

운동 후에 발생되는 외상이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특별한 원인을 찾이 어려운 경우도 많고

근육이나 인대의 이상발달, 신경종양 등으로 인해

발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골간신경증후군 증상>

 

- 엄지, 검지 손가락 끝마디가 잘 구부러지지 않는다.

- 특별한 통증이 없다.

- 팔이나 손의 힘이 약해졌다고 느낀다.

- 작은 물건을 집고, 단추를 끼우는 것이 어렵다.

- 연필이나 필기구로 글씨 쓰기가 어렵다.

 

 

<전골간신경증후군 치료>

 

가장 먼저 종양이나 물혹에 인한 눌림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초음파나 MRI를 통해 이상 구조물이 없는 것이 확인 된다면

소염제 등의 약물치료와 재활치료를 합니다.

 

이와 같은 치료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면

초음파를 통해 정중신경 주위에 주사요법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새움병원에는 수부 질환을 중점적으로

진료하시는 의료진이 있어서

체계적인 치료 및 관리가 가능합니다.

 

궁금하신 점 카톡 및 전화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설명해드릴게요! 감사합니다^^